목회칼럼

어부바

어부바


아이가 엉릴 때 어머니는 포대기에 싸서 둘러 업어 키웠다. 

아무리 험한 길도, 아무리 어두운 길도, 아무리 고단한 길도 어머니의 등은 아이에게 최고의 안전지대였고,

 행복하게 잠들 수 있었던 최상의 안식처였다.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을 봐도 처음 만난 아들과 아버지가 업고 업혀서 냇물을 건넌다. 

가끔 어머니의 등은 아이가 흘린 콧물이나 과자부스러기로 지저분해져 있다.

그러나 어머니는 아이가 울 때, 아이와 함께 가고자 할 때 서슴치 않고 '어부바'를 불렀다. 

그리고 어머니의 등에 엎인 아이는 이네 잠이 들거나 평안한 모습으로 어머니와 동행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느즈막에 예수님을 만나고 많은 후학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신 이어령 박사께서는 "업어 준다는 건 존재의 무게를

 다 받아준다는 것이라"고 정의를 내렸다.

그리고 어미의 등에 붙어 큰 우리나라 사람들이 천성이 착하다고 보았다. 

훌쩍 커버린 아들이 이제는 어미를, 아비를 업어드릴 때가 있다. 

학교 졸업식 때, 큰 상을 받았을 때 부모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업어드린다. 

그래서 어부바가 있는 가족이 행복하다.

제목 날짜
부활(不活)과 부활(復活) 2019.04.21
눈이부시게 2019.04.28
새 엄마의 서약서 2019.05.05
갚지 못할 부모님의 은혜 2019.05.12
부부가 하나 되어! 2019.05.19
다른 것을 볼 줄 아는 마음 2019.05.26
어느 개그맨의 누나 사랑 2019.06.09
사랑과 기쁨의 묘약 2019.06.09
반환점 2019.06.16
용서 2019.06.23
용서 2019.06.30
영적맥추절 2019.07.07
처음처럼 , 마지막처럼 2019.07.21
오늘만이라도 2019.07.21
보석이 되기까지 2019.07.28
행복한 휴가 2019.08.04
도끼날을 가는 지혜 2019.08.11
돌잡이 2019.08.23
습관 2019.08.25
좁은 문을 향하여 2019.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