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칼럼

어부지리 (漁父之利)

어부지리 (漁父之利)

 

고대중국의 연나라에 흉년이 들어 국력이 약해지자, 그 틈을

탄 조나라가 연나라를 침공하려고 했다.

다급히진 연나라의 소왕은 소대라는 신하에게 조나라의 혜문왕이

침공하지 않도록 사신으로 보냈다.

조나라에 도착한 소대는 혜문왕에게 이렇게 말했다.

"연나라와 조나라 국경에 있는 강을 지나다가 문득 강변을 바라보니

조개가 입을 벌리고 햇볕을 쬐고 있는데 황새가 조갯살을 쪼아 먹으려

하자 깜짝 놀라 입을 오므렸습니다.

황새가 그만 주둥이를 물리고 만 것이죠.

황새는 비만 아 오면 조개가 말라죽으리라 생각하고, 조개는 입마 벌리지

않으면 황새가 굶어 죽으리라 생각하면서 서로 버텼습니다.

그 광경을 본 어부는 황새와 조개를 잡아 망태 속에 넣고 말았답니다."

연나라가 조개라면 자나라는 황새이며 연과 조 두 나라가 싿워 백성들을

피폐하게 한다면. 조나라와 접해 있는 진나라가 어부가 될 것을 비유로

말한 것이다.

이 이야기에서 어부지리(漁父之利)가 유래된 것이다.

지금 이 나라가 두 동강이 나서 증오와 다툼을 그치지 않을 떄, 조개와 

황새의 싸움을 보며 어부처럼 미소 짓는 나라는 어디일까?

 

 

제목 날짜
몽당연필 (1) 2025.05.04
지움과 채움 2025.04.27
부활의 꽃 2025.04.20
만남의 축복 2025.04.13
사순절 단상 2025.04.06
사명을 다하는 사람 2025.03.30
영적 골다공증 2025.03.23
사후약방문 (死後藥方文) 2025.03.16
믿음과 미움사이에서 2025.03.09
해동(解冬)의 시간 2025.03.02
말(言) 창고 (倉庫) 2025.02.23
졸업식 2025.02.16
조금의 여유 2025.02.09
말의 부메랑 2025.02.02
하나님의 정원사 (庭園師) 2025.01.26
복과 행복 2025.01.19
바보 지도자 2025.01.12
어부지리 (漁父之利) 2025.01.05
초심으로 돌아가자 2024.12.29
기다림의 선물-위로 2024.12.22